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1회의 요금충전으로 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이번에 서울시에서 내년부터 군필자 청년들에 대해 청년할인 혜택을 최장 3년 늘어나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군필 예정인 청년들에게 소중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역
기후동행카드는 주로 서울과 그 인접 지역의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서울지역의 지하철, 경기도 김포골드라인, 진접선, 별내선, 고양시 구간, 과천시 구간의 전철 및 경전철
-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마을버스
- 따릉이(자전거)
◆ 이용 제외 구간
☞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의 지하철, 광역버스, 공항버스, 서울 이외 타 지역의 면허버스
◆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차를 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가능
◆ 지하철의 경우 이용범위 내의 역에서 승차 후 이용범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적용 불가
예외적으로 이용범위 내 승차 후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공항철도(인천공항1터미널~ 인천공항2터미널)에서 하차는 기후동행카드 적용 가능(해당역 승차 시 적용 안됨)
기후동행카드 이용 지하철 세부노선
구분 | 운행구간 | 구분 | 운행구간 |
1호선 | 온수/금천구청 ~ 도봉산 | 신림선 | 전구간 |
2호선 | 전구간 | 경의중앙선 | 탄현~구리/서울역 |
3호선 | 전구간 | 수인분당선 | 청량리~복정 |
4호선 | 정부과천청사 ~ 진접 | 우이신설선 | 전구간 |
5호선 | 방화 ~ 강일/마천 | 공항철도 | 김포공항~서울역 |
6호선 | 전구간 | 경춘선 | 청량리~신내 |
7호선 | 온수~장암 | 김포골드라인 | 전구간 |
8호선 | 전구간 | 서해선 | 일산~김포공항 |
9호선 | 전구간 | - | - |
기후동행카드 충전 금액 별 이용 권종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혜택 3년 연장 내용
현재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은 만 19세부터 만 39세에 적용되며 권종 65,000원(따릉이 포함)과 62,000원(따릉이 미포함)에 있어서 각 7000원씩 할인된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군복무 기간의 기회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복무 청년들에게 3년까지 연장을 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특별시 청년기본 조례' 개정이 통과됨에 따라 2025년 1월 3일부터 즉시 적용됩니다.
따라서 현재 만 19세~39세에 적용되는 청년할인을 최대 만 42세(82년생)까지 연장되는 것입니다.
◆ 2년 이상 군복무한 경우는 만 42세까지, 1년 이상 2년 미만 복무한 경우는 만 41세까지, 1년 미만 복무한 경우는 만 40세까지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연령 연장◆
연장신청 방법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 연장을 원하는 군 의무복무 청년은 2024년 12월 23일부터 이메일로 신청을 하면 됩니다.
☞ 연장신청 이메일 주소 : helper@tmoneycsp.co.kr
신청 제출서류
제대군인 청년할인 연장신청 절차
구분 | 처리 내용 | 비고 |
1. 서류준비 | · 병적증명서 발급 · 연장신청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작성 |
정부24 인터넷 또는 구청/주민센터 현장발급 서울시 또는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다운로드 |
2. 이메일 접수 | helper@tmoneycsp.co.kr | 준비서류 3개 첨부하여 제목은 '청년할인 연장 신청' 입력 |
3. 적용여부 확인 | 접수후 영업일 2일 이낸 알림톡 발송 | '24.12.23~29접수는 12.30. 부터 순차 발송 |
4. 할인 적용 | "연장완료" 알림톡 수신 후 할인가격으로 카드 충전 및 사용 | 조례시행일인 2025.1.3. 04:00부터 적용 |
2025년 3월부터는 별도의 서류 준비 없이 '모바일 티머니' 앱과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를 통해 즉시 할인 연장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오늘은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후동행카드 군필 청년 할인 자격 3년 연장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내년부터 군필이 예정되어 있는 청년 여러분께 도움 되는 정보이길 바랍니다.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세무공무원이 되는 정보 국세청 조직구조 알아보기 (2) | 2025.01.02 |
---|---|
2025년 새해에 달라지는 금융제도 발표 금융위원회 (2) | 2024.12.31 |
2025년부터 기준중위 소득 역대 최대 인상 (2) | 2024.12.23 |
범죄피해자 보호정책 원스톱 솔루션 센터 소개 (1) | 2024.12.22 |
경기도 용인시 도서관 1인당 도서 최대 30권 1년간 대출 (4) | 2024.12.22 |